[김대호의 경제읽기] 7월 수출 554억 달러…65년 무역 역사 신기록<br /><br /><br />하반기에는 수출 증가세가 둔화할 것이라는 우려를 딛고 지난달 한국 수출액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세계 교역 회복세가 뚜렷하고 우리 수출의 질도 좋아지고 있는 만큼 수출 호조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올해 수출 성적은 어떠할지 전망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임차인 보호를 위한 새 임대차법이 시행된 지 1년이 지났습니다.<br /><br />지난 1년의 평가부터 향후 해결 과제는 무엇인지 에서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오늘도 김대호 경제학 박사 자리해 있습니다. 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하반기 첫 달인 7월 수출액이 554억 달러를 돌파하며 한국 수출 역사 신기록을 다시 썼습니다. 하반기 수출 증가세가 꺾일 수 있다 했던 우려도 있었는데 이를 잠재우고 역대 1위 수출 성적을 보일 수 있었던 배경은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정부는 세계 교역 회복세가 뚜렷하고 우리 수출의 질도 좋아지게 된만큼 수출 호조세가 하반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데요. 올해 연간 수출액이 6천억 달러를 넘어 역대 최고치를 달성할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다만 델타 변이 바이러스로 인한 코로나 확산세와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수출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점은 불안 요인으로 꼽히고 있는데요. 우리 수출에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? 혹시 우려되는 다른 변수도 있을까요?<br /><br /> 지난해 7월 세입자 주거 안정을 위해 시작됐던 '임대차 3법'이 시행된지 1년이 지났습니다. 정부는 초기 혼선이 있었지만 안정화 되고 있다고 자평했는데 임대차 3법 시행 전후 부동산 시장 상황은 어떻게 평가하시나요?<br /><br /> 적지 않은 세입자가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해 2년 더 계약을 연장하고 보증금을 5% 이내로 올리면서 당장의 부담을 덜긴 했지만 매물이 줄고 전세값이 오른 부분은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. 실제로 임대차법 시행 전후 전셋값 추이는 어떠한가요?<br /><br /> 임대차 시장에 '전세의 월세화' 현상도 나타나고 있습니다. 임대료 인상에 제동이 걸린 집주인들이 늘어난 보유세를 메우기 위해 기존 전셋집을 월세나 반전세로 돌리고 있다는 건데요?<br /><br /> 주택 임대시장의 큰 축을 담당하고 있는 등록임대에 대한 제도 변경에 대한 논란은 계속되고 있고 다음 달 18일부터는 임대사업자가 기존 계약을 연장할 때 보증금 반환 보증 가입이 의무화될 예정인데요. 부동산 시장에 미칠 영향은 어떠할까요? 정부가 시장 안정을 위해 가장 우선해야 할 노력은 무엇이라 보시나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